Random Article
❁ 24ss-T117-1
Suppose a child plays at make-believe. She barks, crawls on all fours, and says, "I'm a puppy!" In order to make the claim, her brain must construct the key proposition "I'm a puppy" as well as contain the information that puppies bark and walk on all fours. And yet that information exists in a larger context. Her brain contains a vast net of information, including "I'm not really a puppy," "I'm making it up to play a game," "I'm a little girl," and so on. Some of that information is present at a cognitive and linguistic level. Much of it is at a deeper, sensory or perceptual level. Her body schema is constructed automatically, beneath higher cognition, and it describes the physical layout of a human body, not a puppy body. She sees her human hands in front of her, and the visual information confirms her human identity. She remembers eating breakfast cereal with a spoon, going to school, reading a book ― all human activities. The claim "I'm a puppy" is a superficial proposition that is inconsistent with her deepest internal models.
한 아이가 가장(假装) 놀이를 한다고 가정하자. 그 아이는 짖고 네발로 기어다니며 "나는 강아지야"라고 말한다. 그 주장을 하기 위해 그 아이의 뇌는 강아지는 짖고 네발로 걷는다는 정보를 포함해야 할 뿐만 아니라 "나는 강아지다"라는 핵심 명제를 구성해야 한다. 하지만 그 정보는 더 큰 맥락에서 존재한다. 그 아이의 뇌에는 "나는 실제로는 강아지가 아니다," "나는 게임을 하려고 그것을 꾸며 내고 있는 거다," "나는 어린 소녀다" 등을 포함하여 방대한 정보가 들어 있다. 그 정보 중 일부는 인지적, 언어적 수준에서 존재한다. 그것의 많은 부분은 더 깊은, 감각적 혹은 지각적 수준에 있다. 그 아이의 신체 도식은 상위 인지 아래에서 자동으로 구성되며, 그것은 강아지 몸이 아닌, 인간 신체의 육체적 구조를 기술한다. 그 아이는 자기 앞에 있는 자신의 인간 손을 보고, 그 시각 정보는 그 아이의 인간 정체성을 확인한다. 그 아이는 숟가락으로 아침 시리얼을 먹었고, 학교에 갔고, 책을 읽었던 것 등의 모든 인간 활동을 기억한다. "나는 강아지다"라는 주장은 그 아이의 가장 깊은 내적 모형과 불일치하는 피상적인 명제이다.
① 24ss-T117-1
문장 Suppose a child plays at make-believe.
해석 한 아이가 가장(假装) 놀이를 한다고 가정하자.
어휘 • suppose::추측하다, 가정하다
② 24ss-T117-2
문장 She barks, crawls on all fours, and says, "I'm a puppy!"
해석 그 아이는 짖고 네발로 기어다니며 "나는 강아지야"라고 말한다.
어휘 • crawl::기어가다, 서행하다, 기어가기, 서행 어법 • ᴺ 구조: 콤동②
③ 24ss-T117-3
문장 In order to make the claim, her brain must construct the key proposition "I'm a puppy" as well as contain the information that puppies bark and walk on all fours.
해석 그 주장을 하기 위해 그 아이의 뇌는 강아지는 짖고 네발로 걷는다는 정보를 포함해야 할 뿐만 아니라 "나는 강아지다"라는 핵심 명제를 구성해야 한다.
어휘 • claim::주장하다, (생명을) 빼앗다 • construct::건설하다 • proposition::제안, 명제, 프로포지션, 주장 어법 • ʷ 구조: 애즈동① • ˢ as • ˢ as • ˢ that • ˢ to부정사 • ᴺ 병렬구조: 앤동 • ᴸ 강한어조
④ 24ss-T117-4
문장 And yet that information exists in a larger context.
해석 하지만 그 정보는 더 큰 맥락에서 존재한다.
어휘 • exist::존재하다, 살아가다 • context::맥락, 상황, 문맥, 배경 어법 • ˢ that • ˢ 첨가② • ᴹ 구조: 주ㅇ접①
⑤ 24ss-T117-5
문장 Her brain contains a vast net of information, including "I'm not really a puppy," "I'm making it up to play a game," "I'm a little girl," and so on.
해석 그 아이의 뇌에는 "나는 실제로는 강아지가 아니다," "나는 게임을 하려고 그것을 꾸며 내고 있는 거다," "나는 어린 소녀다" 등을 포함하여 방대한 정보가 들어 있다.
⑥ 24ss-T117-6
문장 Some of that information is present at a cognitive and linguistic level.
해석 그 정보 중 일부는 인지적, 언어적 수준에서 존재한다.
어휘 • cognitive::인지의, 인식의, 경험적 지식에 입각한 • linguistic::언어의, 언어학의 어법 • ˢ that
⑦ 24ss-T117-7
문장 Much of it is at a deeper, sensory or perceptual level.
해석 그것의 많은 부분은 더 깊은, 감각적 혹은 지각적 수준에 있다.
어휘 • sensory::감각의, 지각의 • perceptual::지각의
⑧ 24ss-T117-8
문장 Her body schema is constructed automatically, beneath higher cognition, and it describes the physical layout of a human body, not a puppy body.
해석 그 아이의 신체 도식은 상위 인지 아래에서 자동으로 구성되며, 그것은 강아지 몸이 아닌, 인간 신체의 육체적 구조를 기술한다.
어휘 • schema::개요, 도표, 대요 • construct::건설하다 • automatically::자동적으로, 자연히, 반드시 • beneath::아래에, 밑에, 지하에, 가치가 없는, …의 이면에 • cognition::인지, 인식, 지각 • layout::배치, 설계, 펼치기 어법 • 뒷구조-부사콤
⑨ 24ss-T117-9
문장 She sees her human hands in front of her, and the visual information confirms her human identity.
해석 그 아이는 자기 앞에 있는 자신의 인간 손을 보고, 그 시각 정보는 그 아이의 인간 정체성을 확인한다.
어휘 • visual::눈에 보이는, 시각의 • identity::정체성, 신원
⑩ 24ss-T117-10
문장 She remembers eating breakfast cereal with a spoon, going to school, reading a book ― all human activities.
해석 그 아이는 숟가락으로 아침 시리얼을 먹었고, 학교에 갔고, 책을 읽었던 것 등의 모든 인간 활동을 기억한다.
어법
⑪ 24ss-T117-11
문장 The claim "I'm a puppy" is a superficial proposition that is inconsistent with her deepest internal models.
해석 "나는 강아지다"라는 주장은 그 아이의 가장 깊은 내적 모형과 불일치하는 피상적인 명제이다.
어휘 • claim::주장하다, (생명을) 빼앗다 • superficial::표면상의, 피상적인 • proposition::제안, 명제, 프로포지션, 주장 • inconsistent::일치하지 않는, 모순된 • internal::내부의, 체내의 어법 • ˢ that • ᴺ 접생략: 첫더명대
Copyright © 2024 블루티쳐 영어연구소 | 블루티쳐학원 영어학원 | 등록번호: 762-94-00693 | 중고등 영어 | 수강료: 33(중등), 35(고등) #블루티쳐학원 #블루티쳐영어학원 #구리시영어학원 #인창동영어학원 #동화고 #삼육고 #구리고 #구리여고 #도농고 #가운고 #삼육중 #동구중 #인창중 #수능영어학원 #내신영어학원 #1등급영어 #임희재영어 #btstudy #비티스터디 #영어자료 #영어워크북 #모의고사 #수능 #교과서 #부교재 #메가스터디강사 #김영편입교수 #메가북스저자 #예스영문법저자 #한국외대동문 #TESOL #SAT